[대일응접실]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집중”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은 내년 대덕특구 50주년을 맞아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은 내년 대덕특구 50주년을 맞아 “대덕특구의 담을 허물고 지역과 산학연이 융합 상생 발전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겠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최은성 기자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은 대덕특구의 담을 허물고 지역과 산학연이 융합 상생 발전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고 있다.

‘협력’과 ‘혁신’이란 기치 아래 대덕특구 과학기술 기반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나아가 일류경제도시 대전의 신산업을 연계 육성, 시너지 창출에 주력하고 있다.

내년 50주년을 맞는 대덕특구는 지역 주도의 생태계 전환을 앞두고 있다. 중앙정부가 중심이 된 대덕연구단지 시대 32년, 대덕연구개발특구 시대 17년을 거쳐 새로운 역사적 전환점을 맞이한 것이다.

고 원장은 지방 주도 혁신에 방점을 찍고 대덕특구의 미래 비전을 그리고 있다.

다음은 고 원장과의 일문일답.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의 역할은 무엇인가. 초대 원장을 맡으면서 조직 구축, 사업 선정 등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은 행안부 승인을 받아 2020년 5월 설립한 대전시 산하 출연기관이다. 지난 50년간 연구개발특구에 쌓여있는 과학기술 자산을 지역 산업과 연결해 신산업 육성, 좋은 일자리 창출, 대전시의 사회문제 및 자치구의 특화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연계 사업기획, 투자조정, 협력생태계 조성, 관련 법과 제도 개선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신생 기관으로서 무엇보다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지역의 협력을 확대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 임무인데 대덕특구의 정부출연연구소와 카이스트 등 대학은 국가연구소, 국가의 대학인데 대전하고 특별히 협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과 문화가 부족하다. 대전의 산업체는 건설 등 전통 기업과 서비스업이 많고 기술기반 기업이 성장하고 있으나 아직 규모가 작아 대덕특구의 큰 기술, 원천기술에 대한 수요가 적다. 또 과학기술 기반 지역혁신 역량을 확대해야 하는데 지역 내 내생적인 혁신의 경험과 재정이 부족하고 정부는 중앙부터 중심의 사업에 집중하고 있어 지역 주도 혁신을 만들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고 법과 제도도 미약하다. 이 모든 것을 해내야 하는 것이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의 임무이니 계속 부딪히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내년 대덕특구 50주년을 앞두고 재창조 사업의 진행은? 또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는 비전이나 혁신방안이 있다면

-지역과의 융합협력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 대덕특구재창조 종합계획이 2022년 4월 30일 확정됐고, 12월 5일 대덕특구재창조 추진위원회에서 1조 원이 넘는 투자를 담아 향후 10년간 중점 추진할 34개 세부이행 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지역이 주도하고 중앙정부가 협력하는 방식으로, 대덕특구의 대학과 출연(연)이 지역 산업체와 융합 상생 발전하면서 자치구, 대전 시민들과 함께 담을 허물고 소통하면서 완전히 패러다임을 바꾸는 역사적 전환점을 함께 만들어갈 것이다. 그리고 지역 주도의 융합 협력을 구현하는 허브 공간인 융합연구혁신센터 설립이 대전시와 과기정통부 공동 투자로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서 대덕연구개발특구와 함께 대전의 미래를 바꿀 새로운 융합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이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새로 조성될 제2 대덕연구단지에 융합실증혁신공간을 만들어 가는 데도 중요한 모델 역할을 할 것이다.

△지역 중심 과학기술혁신 정책이 실효를 갖기 위해선 ‘연구개발 포괄보조금 제도’ 도입을 주장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어떤 제도인가?

– 정부는 지난 30여 년 간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종합계획과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지역에 산업단지, 연구개발특구 등 혁신클러스터 조성 등을 지원해왔다. 그러나 균특회계는 10조에 불과하고 대부분 중앙의 통제하에 있으며 지방과학기술토대는 여전히 취약하다. 연구개발특구는 중앙주도 관리로 지역과 밀착되지 못하고 있고 산업단지는 연구개발특구와 시너지를 못 내고 낙후되고 있다. 정부의 국가연구개발투자는 30조에 이르고 있지만 지역혁신을 위해 투자하는 자금은 1조5000억원에 불과하고 대부분 국가과학기술 관련 사업이 국책사업으로 지방비 매칭으로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수주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이 스스로 계획과 전략을 만들고 국가의 재정 지원과 국비사업 수주에 매달리는 구조를 극복할 때 그 길이 열리고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본다. 균특회계를 3배 이상으로 늘리고 지역 과학기술 투자 비중을 확대해 지자체에 연구개발보조금 형태로 지급해 지역 스스로 비전과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민선8기 대전시는 ‘일류경제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은 이에 대한 어떤 로드맵을 갖고 있나?

-민선 8기는 대전미래비전 2040을 만들어 중장기 비전과 계획아래 대전의 미래를 촘촘하게 설계하려고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지역 차원의 산업 육성과 경제 발전, 도시 발전에 활용할 수밖에 없고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은 이것이 가능한 대전과학산업발전 5개년 종합계획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 대덕연구개발특구재창조 종합계획, 제5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2023-2027),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을 녹여내 시너지를 내려고 하고 있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잠자고 있는 대형기술, 원천기술, 융합기술을 대전의 산업체에 이전 사업화하거나 아예 새로운 혁신스타트업을 만들어 성장시키는 융합실증사업화 사업을 시작했고 이것을 나노반도체, 우주항공, 바이오헬스, 국방 등 대전의 새로운 신산업과 연계한 지역 주도 창의융합 기획사업도 시작했다. 그리고 이러한 혁신 노력을 뒷받침할 거버넌스로써 대전시가 조례를 보완해 대전의 과학기술혁신위원회 구성과 역할 강화, 중앙과의 협력 구조화, 지역 혁신기관의 협력 체계 구축 운영 등과 함께 지역과학기술혁신법 제정을 지원함으로써 일류경제도시 대전 비전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 임기가 10여 개월 남았다. 남은 임기 동안 어떤 사업(사안)에 중점을 둘 것인가?

– 대덕특구 정부출연(연)의 연구자로서, 과학기술정책 전문가로서 2014년부터 대전의 미래를 위해 봉사해왔다. 대전과학산업진흥원과 융합연구혁신센터 설립, 대덕특구재창조 종합계획을 제안하기도 했고 원장을 맡은 이후에는 내용상으로 이바지해왔다. 이것이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남은 임기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중앙부처의 지역을 위한 대형 사업기획, 지역 차원에서 대덕특구와 지역의 산업체가 함께 해야 하는 사업기획, 이러한 기획의 결과로 나타나는 의제들의 실제 이행 구조를 안착시키는 일, 도시문제를 과학기술로 연결하는 시민주도혁신 기획과 생태계 구축, 지역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체계화 및 지역과학기술혁신법 제정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또 산업별 협의체와 네트워킹 구축,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 작업과 함께 대전시가 추진하는 세계경제과학도시연합의 사무국을 맡아 도시 간 공동프로젝트와 상생협력 비즈니스, 기술기반 스타트업의 교류와 공동 성장, 외국인 인재와 투자가 몰려드는 생태계 구축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대담=우세영 취재1팀 부장, 정리=진나연 취재1팀 기자

 

*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은

서강대에서 화학과 학사와 석사를 받고,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The University of Manchester)에서 과학기술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8년부터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선임 및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미래전략본부 본부장, 대외협력본부 본부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2021년 1월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초대 원장으로 취임했다.

Related Articles

최신 기사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