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로수용소에서 풀려나 해방의 기쁨을 만끽하는 영국군 포로들과 한국소년 김구춘(영국군 포로 어깨 위에 있는 소년 김구춘은 경성 수용소 포로들에게 약 2년 간 몰래 신문을 갖다 준 것으로 알려졌다). 용산구 제공
2차 대전 당시 158명의 이름이 들어 있는 연합군 전쟁포로 명단이 발굴됐다.
영국인 엘링톤(Elrington) 중령, 미국인 다이엘(Daniel) 중위, 호주인 스넬(Snell) 이병 등 국적과 계급이 모두 다르지만 지난 1945년 8.15 광복으로 인해 자유를 되찾은 연합군 소속 전쟁포로(Allied POW·Prisoner of War)들이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서울 용산구(구청장 성장현)는 경성연합군포로수용소(KEIJO CAMP)에 수감됐던 연합군 전쟁포로 명부를 발굴했다고 22일 밝혔다.
용산구 제공.
총 158명의 연합군 포로 중 △미군은 장교 2명 △영국군은 141명(장교 91명, 준사관 2명, 사병 48명) △호주군은 모두 15명(장교 6명, 사병 9명) 이었다.
문서는 연번, 이름, 계급, 군번(ASN), 국적 순으로 정리가 됐으며 총 4페이지 분량이다.
용산구 송정윤 문화체육과장은 “원출처는 미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이며 김천수 용산문화원 역사문화연구실장이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전자사료관’에서 해당 문건을 찾아냈다”고 설명했다.
용산구에 따르면 경성연합군포로수용소(이하 수용소)는 아시아·태평양전쟁이던 지난 1941~1945년 시기 말레이 전투(1942년)에서 일본군 포로가 된 연합군 병력을 일부 수감하기 위해 일제가 만든 시설이라는 것.
개설 일자는 1942년 9월 25일, 위치는 용산 청엽정(靑葉町, 현 청파동) 3정목 100번지(현 신광여중고 부지)였다. 과거 이와무라(岩村) 제사공장 창고로 쓰였던 건물을 증개축했다.
주한미군사(HUSAFIK) 등 자료에 따르면 1000여명에 달하는 연합군 포로들이 싱가포르에서 출발해 9월 22일 부산에 도착, 9월 25일 기차 편으로 일부는 영등포에서 분할되어 인천 포로수용소로 갔고 영국군 엘링톤 중령 이하 158명이 용산에 도착했다.
영국인 장교와 부사관, 호주인 장교와 부사관이 별도의 내무반(총 12개)으로 편성됐으며 수용소 총책임자는 일본군 노구치(野口讓) 대좌(현 대령계급)였다.
일제는 연합군 폭격으로부터 자신들의 군사·철도기지와 일본인 거류민을 보호하기 위해 용산 일본군사령부 바로 옆에 백인 포로수용소를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성의 포로들은 주로 일본군 육군창고(현 캠프킴 부지), 경성역(현 서울역), 한강다리 등에서 강제노역을 했으며 감시원들로부터 갖은 고초를 겪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1945년 일제의 패망과 동시에 포로 석방 절차가 진행된다. 한반도에 진주한 미 제24군단은 연합군 포로들을 석방하기 위해 포로인수팀(recovery team)을 배속 받았다.
스텐겔(George J. Stengel) 포로인수팀장(대위)은 9월 3일 오키나와에서 출발, 6일 김포비행장에 도착했으며 조선철도호텔에서 노구치 대좌를 만나 포로수용소 목록, 포로 명부를 인계 받았다. 포로들이 전부 풀려나는 데는 3일이 더 걸렸다.
포로들이 풀려난 뒤 해당 수용소는 학교로 용도가 바뀌었으며 1946년 신광기예초급중학교가 이곳에 들어섰다. 지금은 신광여중고가 됐다. 남아있던 수용소 건물은 2011년 철거돼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김천수 실장은 “2014년 발간한 ‘용산의 역사를 찾아서’ 책자에 포로수용소 설치 배경과 석방과정 등을 자세히 소개한 바 있다”며 “새롭게 발굴한 사료는 내달 발간되는 증보판 책자에 수록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철거 당시 벽돌 한 장이라도 남겨 역사교육의 현장으로 삼았으면 좋았을 텐데 안내판 하나조차도 없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수백 명의 연합군 전쟁포로들이 이곳 경성 수용소에서 정말로 어려운 생활을 했다”며 “다시는 그런 아픈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할 것”이라고 말했다.